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홈태그방명록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애착

  • 애착, 스트레스 조절과 자기조절 능력 발달, 분리불안과 낯가림

    2025.09.16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로렌츠의 각인 이론, 결정적 시기의 정서발달과 자기개념 형성

    2025.08.26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자아 개념 - 기질 및 성격 형성은 사회성 발달의 근원

    2022.02.19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영아기 성과 유아기 성 발달-자위행동, 은밀한 놀이처럼

    2021.09.10 by 샘아동심리연구원

애착, 스트레스 조절과 자기조절 능력 발달, 분리불안과 낯가림

1. 애착의 의의 및 정의애착(attachment)은 영아가 주 양육자와 형성하는 지속적이고 정서적인 유대 관계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친밀감을 넘어 아동의 생존, 발달, 심리적 안정을 뒷받침하는 심리적 안전기반(safe base)을 제공한다. 존 보울비(John Bowlby)는 애착을 영아가 특정 인물과 가까이 지내려는 경향과 그 인물로부터 안전과 위안을 얻는 행동 체계로 정의하였다. 애착은 진화적 관점에서 종의 생존을 위해 발달한 본능적 기제로, 영아가 위험하거나 낯선 환경에 직면했을 때 보호자에게 접근하도록 유도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애착은 아동기 이후에도 대인관계, 사회적 신뢰, 정서적 안정성의 토대가 되며, 평생에 걸쳐 심리·사회적 기능의 핵심 기반을 형성한다.2. 애착의 중요성애착..

이론 2025. 9. 16. 21:24

로렌츠의 각인 이론, 결정적 시기의 정서발달과 자기개념 형성

1. 로렌츠의 사상콘라트 로렌츠(Konrad Lorenz, 1903∼1989)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동물행동학자(ethologist)로, 현대 비교행동학(비교심리학)의 기초를 확립한 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니콜라스 틴베르겐(Nikolaas Tinbergen), 칼 폰 프리슈(Karl von Frisch)와 함께 1973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동물 행동의 본능적 기제와 환경 적응 과정을 연구하였다.로렌츠의 사상의 핵심은 행동의 진화론적·생물학적 기반에 있다. 그는 동물과 인간의 행동을 단순히 자극과 반응의 연결로 보지 않고,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본능적 행동 패턴이 존재하며, 이는 종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게 진화해 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행동을 연구할 때 실험실 상황뿐 아니라 자연환경에서의..

이론 2025. 8. 26. 20:49

자아 개념 - 기질 및 성격 형성은 사회성 발달의 근원

자아 개념 자아 개념(自我槪念)또는 자기 개념(Self-concept)은 소유(possession)로 사회적 태도, 능력, 느낌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다.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에 대해 말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분명하고 정교한 자아를 갖게 되는데 스턴(Stern, 1985)은 이러한 자아를 언어적 자아(verbal self)라고 하였다. 1개월 경에는 자신의 신체가 아직 자기 것이라고 깨닫지 못한다. 발달이 느린 아기는 8개월 경에도 자신의 신체와 다른 사람의 신체를 구분하는 것이 정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츨생 후 1년이 되면 자신과 타인을 분명하게 구분할 줄 알고, 자신이 원하는 장난감을 빼앗기 위해 다른 아이를 때리기도 한다. 20~22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는 자신의 물건에 ..

카테고리 없음 2022. 2. 19. 10:00

영아기 성과 유아기 성 발달-자위행동, 은밀한 놀이처럼

1. 현대사회의 편리한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 음식의 과잉 섭취로 성발달 촉진 오늘날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이 매우 발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쉼고 빠르게 먹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적 성호르몬 분비를 더욱 촉진시켜 성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점차 낮은 연령으로 진행하고 있다. 영유아기는 양육자와 신체적인 자극에 대해 친밀감이나 정서적인 안정을 경험하면서 동시에 성적인 자극에 일반화하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성 발달 현상으로 자위행위 또한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는데 양육자의 입장에서는 화들짝 놀라면서 난감해 하거나 당황스러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영아기 성에 대한 왜곡된 기준이나 성 지식의 부족 1) 영아기 성-마사지를 하면서 신체를 스킨쉽하기 발달과 수준에 알맞게 신체의 눈, 코, 입, 귀,..

카테고리 없음 2021. 9. 10. 00: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