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사회적 기술

  • 산만하고 자기중심성이 높은 막내 아동은 불안과 열등감이 존재

    2024.12.04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경계선 및 발달지연 학생의 조기 발견과 선별의 중요성

    2024.10.25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초등 6학년 갈팡질팡 심리적 특징과 학교에서 사회적 관계

    2024.07.21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초등 6학년 아동 - 학교 적응, 또래 관계, 부모와의 관계

    2024.04.15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수줍움과 낮은 자신감 - 일관성 있는 다양한 사회적 기술 필요

    2022.07.17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공격적인 문제와 환경-자기중심적 사고 증가

    2021.09.23 by 샘아동심리연구원

산만하고 자기중심성이 높은 막내 아동은 불안과 열등감이 존재

초등5학년 아동은 학교에서 산만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여 스트레스가 높음. 키가 또래보다 월등히 작아서 매일 성장촉진제를 맞고 있는 신체적 특징이 있으며, 학습능력이 낮아서 같이 게임하거나 협동놀이에 참여하지 안하고 혼자 돌아다님. 아동은 부모와 함께 수면하고 중학생 언니와 오빠와 거리감을 나타냄. 언니는 부모가 남동생과 막내에게 관심이 높다고 불만을 나타내고, 오빠는 아들을 선호하면서 막내동생을 사랑한다는 느낌에 자주 여동생에게 치근덕 거리기를 자주 함. 이에 내담자 막내는 언니와 상대를 안하고, 오빠와는 장난치듯 매일 다투면서 크게 소리지르고 울면서 자기중심적, 충동성을 발휘하면서 엄마아빠에게 의존함. 부모는 막내딸에 대한 측은지심으로 과잉보호하기 때문에 부부싸움이 증가하고, 가족 분위기는 늘 냉랭..

상담 2024. 12. 4. 09:00

경계선 및 발달지연 학생의 조기 발견과 선별의 중요성

경계선 및 발달지연 학생의 조기 발견과 선별은 학습 및 사회적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계선 지능을 가진 학생들은 평균 지능보다 낮지만 발달장애 기준에 해당하지 않아 일반 교육 환경에서 발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발달지연은 주로 인지, 언어, 사회적, 신체적 발달의 지연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교 생활에서 학습 성취도 및 또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경계선 지능과 발달지연은 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과 발달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적절한 개입과 지원이 요구된다. 경계선 지능은 평균 지능보다 낮지만 발달장애로 진단되지 않는 상태로, 학업과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반면 발달지연은 특정 발달 영역에서 또래보다 뒤처지는 상태로, 적절한 시기에 중재가 이루어지지 ..

특수장애 2024. 10. 25. 23:48

초등 6학년 갈팡질팡 심리적 특징과 학교에서 사회적 관계

초등학교 6학년 남자 아동들은 사춘기의 문턱에 서 있으며, 이 시기에는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 나이의 아동들은 특히 신체적 성장, 정서적 독립,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복잡성에 직면하게 됩니다. 아동들은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사춘기 심리의 특징정서적 변동성: 사춘기에 접어든 아동들은 호르몬 변화의 영향으로 감정 기복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때때로 예측하기 어려운 행동을 보이거나 불안정한 정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자아정체성의 탐색: 이 시기 아동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자기 탐색은 사춘기의 중요한 부분이며, 자신의 성격, 선호, 가치관을 발견하는 과정을 포..

상담 2024. 7. 21. 23:10

초등 6학년 아동 - 학교 적응, 또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초등학교 6학년 아동에게 학교 적응 문제와 또래 관계의 중요성은 그들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 시기 아동들은 사춘기에 진입하며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겪는 동시에, 학업 부담과 또래 집단 내에서의 위치에 대한 인식이 커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학교 적응과 또래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전반적인 웰빙에 큰 영향을 미친다. 1. 초등 6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초등 6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문제는 아동이 학교 환경 내에서 요구되는 학업적, 사회적, 행동적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하는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교육 과정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시험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발생한다. 2) 또래 집단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

상담 2024. 4. 15. 23:30

수줍움과 낮은 자신감 - 일관성 있는 다양한 사회적 기술 필요

수줍어하는 아이들의 특성 수줍음이란 낯선 사람을 대할 때 자신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부끄러워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가 낯선 사람을 보면 엄마 뒤로 숨고 머뭇거리거나, 말해야 할 때 안하려고 한다거나, 친구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하고 어울리는데 망설이는 행동으로 나타낸다. 수줍어하는 아이는 자주 다른 사람을 피하곤 하며 대부분의 일에 있어서 내성적이며 잘 나서려하지 않고 부끄러워한다. 부끄럼을 잘 타는 아이는 쉽게 화를 내고 다른 사람과의 친숙함이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혼자 있기를 원한다. 남을 성가시게 하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주 눈에 띄지는 않는다. 아이가 수줍음을 타는 이유가 무엇인지, 지도는 어떻게 하고, 부모에게는 어떻게 조언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카테고리 없음 2022. 7. 17. 22:51

공격적인 문제와 환경-자기중심적 사고 증가

1. 공격적 행동 의의 및 특성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는 이유 없이 다른 사람의 신체 할퀴기, 소리 지르거나 머리 부딪히기, 깨물기, 물건을 부수거나 던지기, 욕하기, 싸우기 등의 행동을 한다. 공격성이란 다른 사람에게 신체적 상처를 입히거나 파괴하는 행동과 의도적으로 정신적인 위협을 가하는 것이다. 공격성의 목적은 자신의 욕구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영아기(생후 6개월)부터 생리적인 욕구와 사회적 승인 및 애정을 드러내기 시작하는데, 2.5세에 분노폭발이 최고치에 이르면서 본능적인 공격성이 증가한다. 이런 공격성은 사회적응능력을 위한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거나 양육방법의 잘못 등이 원인으로서 권위의 한계를 시험하기 위한 거부증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2. 지도 방법 1) 신경학적 기질 이해 관심..

카테고리 없음 2021. 9. 23. 00: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